<Monthly EACN>은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에서 월 1회 발행하는 영화 소식지입니다.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영화 소식을 전합니다. |
|
|
🔍제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관련 웹사이트로 연결됩니다. |
|
|
한국영상자료원은 유현목감독탄생10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영화의전당과 함께 2025년 6월 26일부터 7월 5일까지 「유현목 탄생 100주년전: 시대, 장르, 실천」을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개척자이자 실천적 작가였던 유현목 감독의 다층적인 영화세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대표작은 물론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어온 멜로드라마, 코미디, 아동영화, 실험영화까지 포함되며 제작자이자 교육자로서의 그의 행보 또한 함께 조명된다. 이를 통해 장르와 형식의 경계, 윤리와 미학의 접점, 그리고 영화로 시대를 읽고 사유한 한 작가의 궤적을 되돌아보고자 한다. |
|
|
1925년 황해도 봉산군 사리원에서 태어난 유현목 감독은 2009년 영면에 이르기까지, 한국영화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네아스트Cinéaste로 활약했다. 1956년 <교차로>로 데뷔하여 40여 년간 44편의 작품을 연출했고, 그 가운데 많은 영화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1961년 군사정권 하에서 상영 중단을 당한 <오발탄>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과 독일 표현주의의 영향 아래 한국사회의 모순과 절망을 영상으로 형상화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
|
|
그는 “영상적으로 사유한다”는 말을 남겼다. 어릴 적부터 미술에 깊은 관심을 가져온 그는 대사보다 미장센과 구도, 조명, 촬영 같은 시각적 구성을 통해 사유하여 그만의 영상언어를 만들어냈다. 이런 감각은 현존하는 그의 가장 오래된 작품인 <그대와 영원히>(1958)부터 <오발탄>, <순교자>(1965) 등 일관되게 나타나며 특히 <손>(1975), <춘몽>(1965)은 이런 면을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
|
|
하지만 유현목 감독을 ‘무거운 작가’로만 기억하는 것은 온전치 않다. 그는 사석에서 “재미있는 사람”으로 인정받기를 은근히 바랐다고 한다. 실제로 <수학여행>(1969)은 비전문배우인 아이들과 구봉서가 뿜어내는 생기 넘치는 에너지로 가득하며, <공처가 삼대>(1969)는 여성들의 기세에 눌린 남성들의 ‘비밀스러운 공모’를 유쾌하게 풍자하고, <몽땅 드릴까요>(1968)에서는 배우들의 희극적 앙상블을 정교하게 직조하는 연출력을 보여준다. |
|
|
감독으로서의 성취에 더해, 그는 ‘시네포엠’, ‘한국소형영화동호회’를 통해 실험영화를 만들었고, 영화 제작 붐을 일으키고자 했다. 또한 ‘유프로덕션’을 설립해 문화영화와 애니메이션제작에 참여했다. ‘동서영화연구회’를 발족해 시네마테크 운동을 펼쳤으며 대학 강단에 올라 수많은 후학을 길러냈다. 제작자이자 교육자로서의 그의 역할 역시 영화 언어만큼이나 분명하고도 실천적이었다. 그 모든 궤적을 돌아보면, 영화평론가 변인식이 남긴 말 “유현목은 영화다” 는 단순한 찬사가 아닌 한국영화사에 새겨진 선언으로 읽힌다. |
|
|
이번 특별전에서는 유현목 감독이 직접 연출한 영화(극영화, 실험영화) 16편,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션 1편, 그리고 그의 세계를 재해석한 비디오 에세이 1편까지 총 18편이 상영된다. 가장 주목할 작품은 <오발탄>과 같은 해에 제작된 <임꺽정>(1961)이다. 2022년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발굴되어 복원된 이 작품은 홍명희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한 유현목 감독의 드문 사극으로, 이번 특별전을 통해 4K 버전으로 국내 최초 공개된다. 이외에도 디지털화된 <순교자> 4K 버전, 35mm 프린트 상영으로 만나는 <그대와 영원히>, <분례기>, <말미잘> 등 다양한 시기의 주요작들이 상영된다. |
|
|
특별전 기간 동안 유현목 감독의 영화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1회의 학술세미나와 9회의 부대행사가 마련된다. <임꺽정>의 발굴 과정을 소개할 이지영(한국영상자료원 수집 담당)과 석지훈(근현대사 연구자)의 토크를 시작으로, <손>, <춘몽>, <나의 한국영화 에피소드 6: 춘몽/창조/복원> 상영 후에는 김홍준(한국영상자료원 원장), 조준형(한국영상자료원 선임연구원)의 씨네토크가 진행된다. 또한 이공희·김성수· 양윤호 감독, 정재형·전찬일·맹수진 평론가 등이 참여하는 관객과의 대화 및 작품 소개가 이어지며, 일부 상영 종료 후에는 지하 1층 로비에서 관객과 자유롭게 소통하는 ‘라운지 토크’가 마련된다. 이번 특별전을 통해 유현목이라는 이름을 단순히 ‘기념’이 아닌 현재진행형의 질문으로 되새겨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그 질문은 오늘날 한국영화가 시대와 사회를 어떻게 다시 마주해야 하는지를 묻는 것이기도 하다. |
|
|
- 그대와 영원히 (1958) 35mm
- 오발탄 (1961)
- 임꺽정 (1961) 4K
- 김약국의 딸들 (1963) 4K
- 손+춘몽+나의 한국영화 에피소드6: 춘몽/창조/복원 (1965, 유현목, 김홍준) *춘몽 4K
- 순교자 (1965) 4K
- 막차로 온 손님들 (1967) 4K
- 공처가 삼대 (1967) 4K
- 카인의 후예 (1968)
- 몽땅 드릴까요(토끼와 포수) (1968) 35mm
- 수학여행 (1968) 4K
- 분례기 (1971) 35mm
- 장마 (1979) 4K - 개막작
- 사람의 아들 (1980) 4K
- 말미잘 (1994) 35mm
- 콩쥐 팥쥐 (1977) 4K
|
|
|
- 개막식
일시: 6월 26일(목) 14:30 - 15:00 *개막작 <장마>
- 씨네토크
일시: 6월 26일(목) 18:00 <임꺽정> 상영 후 씨네토크 (이지영 한국영상자료원 수집 담당, 석지훈 근현대사 연구자) 일시: 6월 27일(금) 18:30 <손>, <춘몽>, <나의 한국영화 에피소드6: 춘몽/창조/복원> 상영 후 씨네토크 (김홍준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조준형 한국영상자료원 학예연구팀 선임연구원)
- 관객과의 대화
일시: 7월 1일(화) 15:00 <그대와 영원히>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맹수진 평론가) 일시: 7월 3일(목) 15:00 <분례기>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전찬일 평론가) 일시: 7월 5일(토) 16:00 <사람의 아들>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정재형 평론가)
- 라운지 토크
일시: 7월 2일(수) 16:00 <오발탄> 상영 후 라운지 토크 (김성수 감독, 김수연 영화사연구자) 일시: 7월 5일(토) 13:00 <말미잘> 상영 후 라운지 토크 (양윤호 감독)
- 작품 소개
일시: 6월 28일(토) 17:30 <김약국의 딸들> 상영 전 작품소개 (이공희 감독) 일시: 7월 2일(수) 19:00 <공처가 삼대> 상영 전 작품소개 (김혜신 평론가)
|
|
|
- 학술 세미나 [유현목 100th: 한국영화 프론티어]
일시: 6월 27일(금) 13:00-17:00
|
|
|
싱가폴 아시안 필름 아카이브(Asian Film Archive)는 특별 프로그램 「Twin Tales」를 통해 프랑스 누벨바그 거장 에릭 로메르(Éric Rohmer)와 한국 감독 홍상수의 작품들을 연결지어 소개한다. 두 감독은 일상의 단조로운 순간 속에서 철학적이고도 섬세한 세계를 창조하며, 산책과 어색한 저녁 식사, 우연한 만남, 그리고 잘못된 정체 인식을 통해 도덕적 딜레마를 탐색한다. |
|
|
로메르와 홍상수의 영화 속 인물들은 종종 예술가, 영화감독, 작가, 또는 고립된 중산층 인물들로, 욕망과 망설임, 사회적 예절, 그리고 의미와 연결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만들어낸 허구와 마주하게 된다. 프랑스의 계절 감각이 짙은 풍경이든, 서울의 겨울 풍경이든, 이들 영화의 주인공들은 도시 공간을 방랑하는 '플라뇌르(flâneur, 산책자)'처럼 유유히 떠돌며 절제된 유머와 감정의 모호함을 드러낸다. 반복되는 행동과 습관, 아이러니한 상황 설정, 그리고 유머러스한 서사 구조는 이 인물들의 순환적 삶의 리듬 속에 감춰진 우주적 질서를 은근히 암시한다. |
|
|
이번 프로그램은 로메르의 대표작들과 홍상수 영화 세계의 초석이 된 초기작들 병렬 상영을 통해 그들만의 영화 세계로 안내한다. 「Twin Tales」는 로메르의 기지 넘치는 이야기와 홍상수의 미니멀하고 자전적이며 자기반영적인 초상을 나란히 조명함으로써, 언어와 윤리, 욕망의 내면 세계가 덧없는 삶의 흐름과 어떻게 충돌하고 교차하는지를 관객들에게 사유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
|
- Wanderers in Transit 이동 중인 방랑자들
녹색 광선 The Green Ray (1986) X 해변의 여인 (2006)
- Entangling of the Selves 뒤얽힌 자아들
여름 이야기 A Summer's Tale (1996) X 우리 선희 (2013)
- Daydreams and Fidelity in Paris 파리에서의 몽상과 충실
오후의 사랑 Love in the Afternoon (1972) X 밤과 낮 (2008)
- Delusions and Distorted Desires 망상과 뒤틀린 욕망
수집가 The Collector (1967) X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2004)
- Navigating Moral Terrains in Black and White 흑백 속 도덕적 지형 탐색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 My Night at Maud’s (1998) X 그 후 (2017)
- Knowing and Re-knowing the Other 타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재인식
가을 이야기 Autumn Tale (1998) X 당신 자신과 당신의 것 (2016)
|
|
|
출처: Hong Kong Film Archive |
|
|
중국의 오랜 역사 속에서 진秦나라와 한漢나라(기원전 221년~기원후 220년)는 개척적이고 결정적인 위상을 차지한다. 기원전 221년, 진시황은 여섯 국가를 통일하며 오랜 분열과 혼란을 종식시키고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인 진秦나라를 세운다. 진시황은 제도를 통일하고 규범을 정비했지만, 동시에 혹독한 법과 강제 노역, 대규모 토목공사를 강행해 백성들의 고통을 키웠고, 결국 민중의 봉기를 야기했다. |
|
|
진 말의 군웅할거 속에서 유방(劉邦)이 한나라를 세운다. 한 초기에는 무위자치의 원칙을 따랐으며, 이후 문경지치와 한무제의 전성기를 거쳐 민생이 안정되고 국가도 부강해졌다. 15년 만에 멸망한 진과 달리, 한나라는 서한과 동한을 합쳐 400년 이상 존속하며 중화 문명의 초석을 다졌다. 그러나 동한 말기, 다시 군웅이 각축하며 삼국 시대라는 새로운 전란의 시기로 접어든다. |
|
|
진·한 양대 왕조는 영토, 제도, 생산기술, 문화교육, 교통 등 여러 방면에서 중국 역사 발전의 기반을 구축했다. 더불어 이 격변의 시대는 수많은 전설과 이야기를 낳았으며, 특히 위·촉·오 삼국의 역사는 나관중의 『삼국지(三國演義)』를 통해 대중문학으로 승화되어 이후 희곡,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원천이 되었다. |
|
|
홍콩 무협·사극 영화 역시 진·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적지 않다. 작가들은 정사, 문학 고전, 민간 설화, 연의 등에서 소재를 발굴하여, 때로는 역사 고증에 충실하고, 때로는 대담하게 상상력을 펼쳐 풍부한 창의성과 감성을 드러낸다. 대규모 전쟁 장면을 실감나게 재현하기 위해 중국 본토에서 촬영하기도 하고, 홍콩 영화 특유의 액션 요소를 극대화하여 시각적 쾌감을 선사하기도 한다. |
|
|
홍콩 필름 아카이브의 「영화 속 진한秦漢 문맥」은 2025 중화中華문화 페스티벌의 특별 프로그램 중 하나로, 진·한을 배경으로 한 8편의 영화를 선별하여 상영한다. |
|
|
- <서초패왕 西楚覇王> (1994, 시엔치란冼杞然)
- <진용 秦俑> (1990, 정소동程小東)
- <몽중인 夢中人> (1986, 구정평区丁平)
- <삼국지: 용의 부활 三國之見龍禦甲> (2008, 이인항李仁港)
- <신화: 진시황릉의 비밀 神話> (2005, 당계례唐季禮)
- <삼국지: 명장 관우 關雲長> (2011, 맥조휘麥兆輝, 장문강庄文強)
- <적벽대전 1부: 거대한 전쟁의 시작 赤壁> (2008, 오우삼吳宇森)
- <적벽대전 2부: 최후의 결전 赤壁 決戰天下> (2009, 오우삼吳宇森)
|
|
|
일본 국립영화아카이브가 매년 여름 진행하는 「어린이 영화관: 여름방학」이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새로운 주제로 돌아왔다. 「어린이 영화관」은 어린이들이 영화를 만나고 영화를 더 알아가며 더 좋아하게 되는 어린이 특화 프로그램이다. 영화 상영 및 무비 토크와 더불어 게임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영사실을 직접 방문할 기회도 주어진다. |
|
|
2024년 여름 '애니메이션' 특화 프로그램에 이어 올해 여름에는 '모두와 함께 커다란 스크린으로 영화를 보자'라는 주제로 과거 영화를 영화관에서 상영하여 아이들에게 영화관 체험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 위해 4가지 섹션 '마음을 나누는 건 인간만이 아니에요', '택시를 타고 도쿄 거리를 달려봐요', '"노래가 있는 무성영화"로 떠나보자', '할리우드 코미디를 즐겨봐요'로 구성되어 4일간 상영된다. |
|
|
더불어 3-4차 섹션 상영일에는 카츠벤(活弁, 무성 영화의 변사)과 신디사이저 및 전자 피아노 라이브 반주를 통해 마치 무성영화 시절 영화관에 있는 듯한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 마음을 나누는 건 인간만이 아니에요
일시: 7월 25일 금요일 <친절한 사자 やさしいライオン> (1970, 야나세 타카시 柳瀬嵩) <어느 길모퉁이 이야기 ある街角の物語> (1962, 야마모토 에이치 山本暎一, 사카모토 유사쿠 坂本雄作)
- 택시를 타고 도쿄 거리를 달려봐요
일시: 7월 25일 토요일 <불어라 봄바람 吹けよ春風> (1953, 타니구치 센키치 谷口千吉)
- "노래가 있는 무성영화"로 떠나보자
일시: 8월 1일 금요일 *변사: 오다 타카토라 尾田直彪 신디사이저 반주: 사카모토 마리 坂本真理 <더 둘 소드 なまくら刀> (1917, 코우치 준이치 幸内純一) <온천비화 미사사코우타温泉悲話 三朝小唄> (1929, 히토미 키치노스케 人見吉之助)
- 할리우드 코미디를 즐겨봐요
일시: 8월 2일 토요일 *변사: 오오모리 쿠미코 大森くみこ 전자피아노 반주: 아마미야 하루카 天宮遥 <필 마이 펄스 Feel My Pulse> (1928, 그레고리 라 카바 Gregory La Cava)
|
|
|
개최 일시: 7월 3일 - 7월 13일
[주요 프로그램]
부천 초이스, 코리안 판타스틱, 메탈 누아르, 아드레날린 라이드, 메리 고 라운드, 매드 맥스, 저 세상 패밀리, 엑스라지, 스트레인지 오마쥬 |
개최 일시: 7월 8일 - 7월 19일
[주요 프로그램]
비키 키즈, 비키 유스, 비키 유스 플러스, 비욘드 비키, 비키 클래식, 레디 액션 |
|
|
동아시아 영화를 사유한다는 것은 ‘동아시아’라는 납작한 경계를 의미화하고 주체화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동아시아 영화는 동아시아의 얼굴입니다. 이 얼굴들은 서로 공명하며 감응합니다.
저희가 마련한 학술대회는 동아시아 각국의 영화 안팎에서 펼쳐지는 그 공명의 파형을 텍스트, 정책, 매체라는 세 차원에서 고찰하려 합니다. 텍스트에서는 상호 참조와 진화의 역동성을, 정책에서는 그것이 펼쳐내는 각국 영화 환경의 다양성을, 매체에서는 OTT의 등장에 따른 응전의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영화라는 복잡다기한 얼굴들을 아우르는 입체도를 그려보고자 합니다. 이 도판은 ‘동아시아’라는 추상적 개념을 탈주하여 그 함의를 표현하고 펼칠 역량을 함축한다는 점에서 한 편의 ‘풍경’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에 힘입어 더욱 풍성한 동아시아의 풍경이 그려지길 소망합니다.
일시: 2025. 07. 05. (토) 12:30 - 18:00
장소: 부산대학교 성학관 102호
|
|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2 TEL: 051.510.739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