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EACN>은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에서 월1회 발행하는 영화 소식지입니다.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영화 소식을 전합니다. |
|
|
🔍 제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관련 웹사이트로 연결됩니다. |
|
|
부산비엔날레가 지난달 16일 오후 5시 부산현대미술관 야외 특설 무대에서 개막식을 가졌다. 8월 1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을숙도에 자리한 부산현대미술관과 원도심에 위치한 부산근현대역사관의 금고미술관, 한성1918 그리고 초량의 주택을 개조한 전시장 초량재까지 총 4개의 전시장에서 펼쳐지는 《어둠에서 보기(Seeing in the Dark)》는 36개국 62작가/팀(78명)이 참가한다.
2024부산비엔날레는 팔레스타인, 이란과 같은 중동 지역뿐 아니라 세네갈, 자메이카, 코트디부아르, 토고와 같은 아프리카 등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지역의 작가들이 다수 참여하면서 다채로운 문화와 관점을 접할 기회가 마련되었다. |
|
|
2024부산비엔날레의 주제인 《어둠에서 보기(Seeing in the Dark)》는 우리가 어둠 속에서는 볼 수 없기에 역설적이다. ‘어둠’은 우리가 처한 곤경, 어두운 역사, 알 수 없는 곳을 항해하는 두려움을 상징한다. 이 혼란함 속에서 대안적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는 의미다. 공동 전시감독인 베라 메이(Vera Mey)와 필립 피로트(Philippe Pirotte)는 해적들이 시도한 공동체 방식과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불교 도량의 깨달음에서 출발한 주제라고 밝혔다. 여러 문화와 배경의 사람들이 섞여서 소통하고 생활하는 모습이 부산과도 닮아있다고 보았다.
이런 맥락에서 작가 또한 다양한 문화권의 저술가, 교사, 악기 제작자, 의사, 디제이, 다학제 연구자, 종교인 등 독특한 배경과 활동 영역을 가진 작가들로 구성되었다. |
|
|
2024부산비엔날레 《어둠에서 보기(Seeing in the Dark)》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어둠 속의 잡담 △어둠 속의 연주 △어둠 속의 탐구 △특별 프로그램 4가지의 전시 연계 프로그램들 또한 관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 모든 프로그램은 예술적 실천과 연구를 아우르며 전시를 다채로운 형식으로 확장한다. <어둠 속에서 잡담>은 담화, 아티스트 토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여작가 송천, 이시카와 마오(Ishikawa Mao), 스테파노 하니 with 준 리(Stefano Harney with Zun Lee) 등이 참여한다. |
|
|
입구에 설치된 미디어 아티스트 조 네이미(Joe Namy)의 대형 송신탑 작품은 높이 8미터의 대나무 구조물에 매달린 빈티지 스피커를 통해 성장과 치유를 위한 새로운 소리와 꿈을 라디오 전파 리믹스로 송출한다. 로비를 지나 전시장으로 들어서면 카를라 아로차 & 스테판 슈라넨(Carla Arocha & Stéphane Schraenen)의 출품작 <말벌집>을 만날 수 있다. 도둑, 해적, 침입자, 혹은 말벌처럼 도덕적으로 모호한 존재들을 담아내는 연작 <약탈자> 시리즈 중 하나로 플렉시 글라스로 제작된 창문 형태 조형물 수백 개가 조도와 변화를 포함한 여러 변수를 흡수하여 전시장 공간을 집어삼켜 불안감을 조성한다. 지하 전시장에는 가나에서 활동하는 트레이시 나 코우쉬 톰슨(Tracy Naa Koshie Thompson) 작가가 가나의 주요 음식인 와케와 한국의 전통 음식인 배추김치를 섞어 환경적 요인에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각각의 물질들의 성질을 가시화한다. 2층 전시장은 2004부산비엔날레 출품을 마지막으로 유명을 달리한 故박이소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작가가 생전에 남겨 놓은 스케치를 바탕으로 재제작한 작품 <무제(오늘)>은 전시장 바깥에 설치된 두 대의 감시 카메라와 전시장 내부의 프로젝터가 연동된 작품으로 태양이 움직이는 길을 잡는다. |
|
|
차지량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감각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로 꾸며진 개인적인 공간에서 선보이는 이번 작품 <보이는 모든 것에 무지개가 있는 것처럼>은 작가 개인이 경험한 꿈과 깸 사이의 현상을 나타내는 다층적 시공간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
|
|
사운드 프로젝트 특화 전시장으로 조성된 한성1918에서는 전시 개막을 기념하는 프로그램들이 이어진다. 8월 18일 일요일 전시장을 문을 여는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참여작가 니카 두브로브스키(Nika Dubrovsky)가 참여하는 강연과 토론 세션이 펼쳐진다. 캐나다 출신의 블로거 코리 닥터로(Cory Doctorow)와 해적질과 관련된 창조적 공유, 표현의 자유, 프라이버시 보호, 정보 투명성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현장에 참여한 관객들과 토론을 나누게 된다. 이후에는 2024부산비엔날레의 개막을 위해 한국을 찾은 많은 참여작가들이 정오부터 오후 6시까지 직접 디제잉 공연을 선보인다. |
|
|
근대의 생활상을 간직한 초량의 주택 전시공간인 초량재에는 동시대의 재앙에 대한 정유진(Eugene Jung) 작가의 작품을 주목할 만하다. 유토피아와 정반대를 상징하고 재난의 시작을 안내하는 지구본이 산산조각 난 작품을 확인할 수 있다. |
|
|
이 외에도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전시해설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는데, 현장에서 참여 가능한 정기 전시해설과 어린이 대상 쉬운 말 전시해설, 수어 전시해설도 진행된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안내는 공식 홈페이지(https://busanbiennale2024.com/)를 통해 자세한 일정과 참여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
|
|
싱가폴 필름 아카이브는 9월 7일부터 9월 27일까지 'Rest & Relax' 상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Rest & Relax' 프로그램에서는 휴식과 편안함을 주제로 지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열망을 담은 아시아감독들의 영화 12편을 상영한다. 홍상수, 하마구치 류스케,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멈블코어부터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험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짧은 여행을 다녀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실과 허구의 모호한 경계 속에서 자기 자신 마저 잠시 잊은 채 깊은 편안함에 빠질 수 있을 것이다. |
|
|
- <사랑을 카피하다(Copie conforme)> (2010,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이란)
- <해피 아워(ハッピーアワー)> (2016, 하마구치 류스케, 일본)
- <남색대문(藍色大門)> (2002, 이치엔, 대만)
-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ルパン三世 カリオストロの城)> (1979, 미야자키 하야오, 일본)
- <White Days> (2009, 루이 왕핑, 싱가폴)
- <Us And The Night> (2024, 오드리 램, 호주)
- <클레어의 카메라> (2017, 홍상수)
- <여행자의 필요> (2024, 홍상수)
- <동물원에서 온 엽서(Postcards from the Zoo)> (2012, 에드윈, 인도네시아)
- <Triple Bill: People On Sunday(2020), Mangosteen(2022),
A Room with a Coconut View(2018)> (툴라프 샌자로앤, 태국)
- <이리로와(Come Here)> (2021, 아노차 수위차콘퐁, 태국)
- <레몬그래스 걸(Lemongrass Girl)> (2021, 폼 번썸비차, 태국)
|
|
|
제16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가 9월 5일부터 15일까지 11일간 개최되었다. '서울국제건축영화제'는 2009년 첫 개최 이후 지난 16년간 다양한 국내외 건축영화를 소개하며 아시아 유일의 건축영화제로 그 역할을 수행한 건축영화제의 대표적인 특징을 담고 있다.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세계 곳곳의 건축 영화를 대중에게 소개하며 관객과 감독이 만나는 장소이자, 새로운 건축적 시각을 모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올해 서울국제건축영화제는 '플랫폼(PLATFORM)'을 슬로건으로 내걸며 연결과 소통을 상징하는 대명사 '플랫폼'을 건축과 사람을 연결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
|
|
엘레트라 피우미 감독의 <래디컬 랜드스케이프(Radical Landscapes)>로 막을 연 이번 서울국제건축영화제는 19개국 32편의 건축영화를 선보였다. 마스터&마스터피스 섹션에서는 자비네 기지거 감독의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여인들(The Mies van der Rohes - A Female Family Saga)>을 선정해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 팬들의 관심을 받았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삶과 건축물 이면에 숨겨져 있던 그의 파트너와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엿 볼 수 있어 많은 이들의 흥미를 끌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일본 건축을 주목한 '마스터&마스터피스 스페셜: J-아키텍쳐' 섹션에서는 얼마전 한국에서도 개봉해 많은 시네필의 사랑을 받았던 빔 벤더스 감독의 <퍼펙트 데이즈(Perfect Days)>를 포함해 5편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16명의 저명한 건축가, 디자이너가 도쿄 시부야구 일대에 17개의 공중 화장실을 설계한 '도쿄 화장실 프로젝트'의 홍보를 위해 기획된 <퍼펙트 데이즈>에서는 안도 타다오, 이토 요, 반 시게루, 마키 후미히코 등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유명 건축가들의 건축물을 스크린으로 경험할 수 있어 색다른 경험을 선사했다. 이외에도 마이클 블랙우드 감독의 <일본 아방가르드 건축의 3세대들(Japan: 3 Generations of Avant-Garde Architects)>는 한국에서도 많은 팬을 보유하며 전국 각지에 여러 건축물을 설계한 일본 건축가 안도 타다오를 포함해 일본의 전통과 현대적 소재 및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건축가라고 평가받는 7인의 건축가(하세가와 이츠코, 이소자키 아라타, 이토 도요, 안도 타다오, 시노하라 가스오, 마키 후미히코, 단게 겐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
|
‘ACT 페스티벌 2024’이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서 열린다. ACT 페스티벌은 예술과 창의적 기술(Art & Creative Technology)의 앞 글자들을 딴 예술 기술 융합 페스티벌이다. 2015년에 시작된 이 페스티벌은 올해로 9회를 맞이하며, 15개국에서 16개 팀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행사로 자리 잡았다.
SF 소설의 거장 아이작 아시모프의 1952년 단편 소설 '만약에(What If)..'에서 영감을 받아 ‘만약에?: 미래를 보는 다양한 시선’을 주제로 펼쳐지는 제9회 ACT 페스티벌은 오디오 비주얼 콘서트(퍼포먼스)를 비롯해 AR홀로그램 전시, 필름 스크리닝, 강연, 토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
|
|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올해 칸 국제영화제 AR 몰입형 영화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한 <누아르NOIRE>가 한국 최초로 공개된다. 이번 상영은 배우 문소리의 한국어 더빙으로 이루어져 많은 관객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누아르>는 예술과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영화 경험을 선사하며 몰입형 AR 기술을 통한 독창적인 영화적 감동을 전한다. 특별 상영과 함께 <누아르>의 감독 피에르-알랭 지로가 9월 28일 ACC에서 관객들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
|
|
9월 27-28일 진행되는 ‘오디오 비주얼 콘서트’에는 일본을 대표하는 전자음악 작곡가 료지 이케다를 비롯해 404.제로, 아키코 나카야마 & 히로시 와타나베, 피시타쿤, 네오 지오데시아 등 사운드 아티스트가 대거 참여한다. 료지 이케다가 최근 발매한 ‘울트라트로닉스’를 모티브로 진행되며 국내 첫 선보이는 공연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
|
|
개최일시: 9월 27일 - 10월 1일
주요 프로그램: 국제경쟁, 아시아경쟁, 산, 자연, 인간, 올해의 산, 코리안 웨이브, 투게더, 움프 프로젝트 |
개최일시: 10월 2 - 11일
주요 프로그램: 마스터 클래스, 액터스 하우스, 오픈 토크, 커뮤니티 비프
주요 섹션: 갈라 프레젠테이션, 지석, 아시아영화의 창, 뉴 커런츠, 와이드 앵글, 온스크린 |
|
|
개최일시: 10월 11 - 14일
*온라인상영: 11월 1 - 17일
주요 프로그램: 아트앤드라마, 각종시선, 세계는지금, 서프라이즈, 재팬프리미어, 패밀리&칠드런, 비경쟁 |
개최일시: 10월 17 - 27일
주요 프로그램: 베스트국제퀴어단편, 베스트아시아태평양퀴어단편, 베스트대만퀴어단편, 베스트 퀴어 장편, 타이완영화평론가상 |
|
|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소식 |
|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를 진행하고 있으며, CINE-NETWORK ON(시네-네트워크 온) 강연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
|
|
[번역공간으로서의 동아시아: 맥락의 차이와 고민의 연대] 윤여일 경상국립대 사회학과 교수 |
|
|
『동아시아 담론』, 『사상의 번역』, 『사상의 원점』 등 다수의 저서를 쓰고,
『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일본 이데올로기』, 『루쉰 잡기』, 『조선과 일본에 살다』 등 여러 원서를 번역한 윤여일 교수님(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을 강연자로 모셨습니다. 이번 강연은 "번역공간으로서 동아시아: 맥락의 차이와 고민의 연대"라는 주제를 가지고 연구자께서 밀도있게 전개해 온 동아시아 담론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일 시: 2024년 9월 27일 금요일 오후 4시
장 소: 부산대학교 건설관 미리내열람실 4층 아카데미아
참 석: 참가비X (부산대 재학생의 경우 - 비교과 마일리지 신청 가능)
주최·주관: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부산지역혁신플랫폼 |
|
|
[아시아 영화 교육 네트워크와 국제 공동 제작: 경험과 사례들] 김희정 영화 감독 |
|
|
연사로 모시는 김희정 영화감독은 폴란드 영화예술협회와 공동 제작하고 작년 전주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선정된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를 비롯하여, <프랑스 여자>, <설행_눈길을 걷다>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 독립영화의 세계적 전망을 개척하는 선구적 작가입니다. 본 강연은 김희정 영화감독의 폴란드 유학과 공동제작을 통해 얻은 경험들, 그리고 현재 아시아영화학교에서 아시아 청년들을 직접 가르치며 느끼는 생각들을 함께 나누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
|
|
초연결 시대가 만들어낸 새로운 관계 질서 속에서 배움과 나눔의 비전을 꿈꾸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
|
|
일 시: 2024년 10월 11일 금요일 오후 4시
장 소: 부산대학교 박물관 복합문화공간 '나래'
참 석: 참가비X (부산대 재학생의 경우 - 비교과 마일리지 신청 가능)
주최·주관: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부산지역혁신플랫폼 |
|
|
『아시아영화연구』 17권 3호 논문 모집 안내 |
|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에서 연 3회 (3월 31일, 7월 31일, 11월 31일) 발행하고 있는 『아시아영화연구』는 지방에서 발간되는 유일한 영화학 등재 학술지입니다. 2018년 10월, 한국연구재단 KCI 등재지 선정 이후, 아시아영화 및 영화/영상학의 주류 흐름과 비주류 연구 및 최근의 동향까지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이며 폭 넓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
|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교63번길2
TEL:051.510.7391
|
|
|
|